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-1. 여랑야랑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준비 안 된 대통령, 누가 이야기한 거죠? <br><br>네, 오늘 만난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입니다. <br> <br>7개월 만에 만난 두 사람이 한 목소리로 현직 대통령 겨냥한 거죠. <br><br>[조승래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]<br>"이재명 대표와 문재인 대통령이 공감하신 게, 준비되지 않은 대통령이 집권해서 지금 이 나라를 엄청나게 혼란으로 몰고 가고…" <br><br>"국민 걱정 커…민주당이 재집권 준비 했으면 좋겠다" <br><br>Q1-2. 재집권 이야기까지 나왔다고요? <br><br>거기에 전략까지 조언해줬습니다. <br> <br>한 마디로 요약하면 "부울경을 주목하라" 입니다. <br><br>"부울경에서 지난 총선 45%를 득표했는데, 당이 조금 더 관심 가지면 더 큰 지지를 받을 것"이라고 특별히 당부를 했다더라고요. <br><br>Q1-3. 어떻게 보면, 문 전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기반이 있는 지역의 중요성을 말한 꼴이네요. <br><br>사실 이재명 대표는 성남시장, 경기도지사 출신, 수도권이 지지기반이라고 할 수 있는데, 친문 세력의 정치적 중요성을 에둘러 표현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더라고요. <br> <br>국민의힘은 정치적 입장이 달랐던 두 사람이라며 만남이 애처롭다고 평가절하했습니다. <br><br>Q2-1. 두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'땡땡땡에 댓글폭탄', 누구에게 댓글이 쏟아졌다는 거죠? <br><br>댓글폭탄이 이재명 민주당 대표에게 향했습니다. <br> <br>이 대표 최근 금투세 유예에서 완화 시행으로, 입장이 다소 후퇴한 것 같으니 개미투자자들의 항의가 쏟아진 거죠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7월 18일, 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<br>"금투세도 정부가 원하니 일시적인 시행 시기 유예는 필요할 수도 있겠다 논의해 보자. 그런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겁니다."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1일)]<br>"일정 기간 대폭 완화해서 시행하는 방안도 함께 논의해봤으면 좋겠습니다." <br><br>Q2-2. '이재명세' 라는 말이 눈에 띄네요. 여당에선 민주당 한 번 거세게 몰아붙일 기회라고 보겠는데요. <br><br>권성동 의원이 "이러다간 금투세의 또 다른 이름은 '이재명세'가 될 것"라며 공세 수위를 높였고요. <br><br>여당 대변인도 민주당이 금투세 유예 대신 꺼내든 법안의 맹점, 꼬집었는데요. <br> <br>"국내 주식시장의 소중함과 국내 기업 어려움을 간과했냐"고요.<br><br>Q2-3. 민주당 내에서도 여론 부담을 좀 느끼는 상황입니까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<br>우선 이소영 의원, 국내 주식시장 자금 유출 우려가 크다면서 금투세 폐지를 주장해오고 있죠. <br> <br>그렇지만 그대로 시행해야 된단 기존 주장도 만만치 않게 부딪히는데요. <br><br>진성준 정책위의장, "금투세 폐지하면 과연 주가가 뛰어오르냐", "기득권자들의 궤변에 속지 말자"고 했습니다.<br> <br>민주당 내 입장정리도 필요해 보입니다. <br><br>Q3-1. 마지막 주제 보겠습니다. 최고의 땡땡땡땡, 뭔가요? <br><br>계엄특강입니다. <br> <br>김민석 최고위원이 온라인 특강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계엄령 가능성을 언급하며 문 전 대통령과 이 대표 모두 이 정부의 '척결 대상'이 될 수 있다, 주장했습니다. <br><br>[김민석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]<br>"종전세력 읊는 세력 누구겠습니까. 문재인 대통령도 여기(반국가세력)에 해당하겠죠. 반일감정 선동, 이재명 대표 당연히 들어가겠죠." <br><br>Q3-2. 계엄설, 최근엔 민주당도 거리 두는 거 아니었나요. 당내 반응은 어떤지요? <br><br>민주당 내에서 대체로 한 발 뺴는 분위기라서 그런지, 당내에서도 특강에 대한 반응이 시큰둥합니다. <br><br>한 중진의원은 저에게 "실행가능성이 낮다, 개별 의원의 주장일 뿐"이라고 일축했고요. <br> <br>이 대표 측 관계자는 "지지층에 어필하려고 이슈 끌고가는 걸로 보인다"라고 하더라고요.<br> <br>주장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그 근거가 튼실해야 할겁니다. <br> <br>정치인의 말도 예외가 아니겠죠. <br> <br>국민들은 김 최고위원의 주장을 뒷받침할 구체적 근거가 뭔지도 궁금할 것 같습니다. (말의무게)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